본문 바로가기

일본의 쌀값 비상! 3배 폭등! 반강제적으로 저탄식단 해야 하나?

J제이_ 2025. 4. 20.

안녕하세요, J제이입니다. 오늘 아침 밥 한 공기가 어제보다 더 소중하게 느껴지지 않나요? 일본에서는 이미 쌀 한 공기가 '금값'이 되어버린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쌀 가격 폭등의 실체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의 쌀값 비상! 3배 폭등! 반강제적으로 저탄식단 해야 하나?

 

일본의 쌀값, 사상 최대 상승폭 기록

2024년 8월부터 시작된 일본의 쌀 가격 폭등은 '레이와의 쌀 소동(令和の米騒動)'이라 불리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얼마나 심각하냐고요?

  • 2025년 3월 기준으로 쌀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92.1% 상승
  •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쌀 5kg의 평균 가격은 4,214엔(약 4만 2천원)으로 14주 연속 상승 중
  • 고급 품종인 니가타산 고시히카리는 60kg당 도매가격이 5만 1,250엔(약 50만원)으로 1년 전보다 3배나 상승

이로 인해 일부 마트에서는 '1가족 1봉지'로 구매를 제한하는 조치까지 취하고 있으며, 일본인 관광객들이 가격이 절반 정도인 한국 쌀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본, 쌀값 폭등

 

'레이와 쌀 소동'의 4가지 핵심 원인

1. 이상기후가 불러온 최악의 수확

2023년 여름, 일본 전역을 강타한 기록적인 고온과 가뭄으로 쌀 생산에 큰 타격이 왔습니다. 2023년산 쌀 생산량은 670만 톤으로, 쌀 생산량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700만 톤 이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고품질 쌀의 감소가 두드러져, 일본 최대 쌀 산지인 니가타현의 경우 예년 80% 수준이던 1등급 쌀 비율이 크게 줄었습니다.

2. 반세기 동안 이어진 감산 정책의 부메랑

일본 정부는 1971년부터 본격적으로 쌀 감산 정책을 시행해왔습니다. 쌀 대신 다른 작물을 경작하면 보조금을 주고, 쌀값은 다른 보조금으로 높게 유지하는 정책을 펼쳤죠. 그 결과? 재배면적이 1ha도 안 되는 영세소농 비중이 크게 증가했고, 이상기후나 고령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이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정부가 너무 오래 쌀 시장을 통제해온 것이 지금의 문제로 돌아온 것입니다.

3. 예상치 못한 수요 폭증

공급 감소와 함께 수요 증가 요인도 작용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국제 밀 가격 상승으로 쌀로의 대체 수요가 증가했고,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외국인 관광객의 쌀 소비량도 한몫했습니다. 여기에 2025년 오사카 박람회를 중심으로 한 쌀 수요 증가 예상과 지진 및 태풍에 대비한 사재기 현상까지 더해졌습니다.

4. 정부의 수급 예측 실패

일본 정부는 생산량 감소까지는 예측했으나, 품질 저하로 인한 시장 공급량 감소는 예측하지 못했습니다. 비축미 방출 시기를 놓친 것도 원인으로 지적되며, 직거래 확대 등으로 인한 수급 통제력 약화와 허술한 쌀 통계 시스템으로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진 점도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일본, 쌀값 폭등

 

역사는 반복된다: 일본의 쌀 소동 역사

사실 일본의 쌀 소동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1918년 '다이쇼 쌀 소동'과 1993년 '헤이세이 쌀 대란'이 있었습니다.

다이쇼 시대에는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과 지주와 상인들의 매점매석으로 쌀 가격이 폭등했고, 이로 인해 일본 전국 369곳에서 소동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태는 결국 식민지 조선에서의 토지개량사업과 산미증식계획으로 이어졌죠.

헤이세이 시대인 1993년에는 이상 저온으로 인해 쌀 수확량이 급감하면서 '헤이세이 쌀 대란'이 발생했고, 쌀 가격은 1994년 3,081엔까지 상승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본, 쌀값 폭등

 

일본 정부의 대응은?

일본 정부는 2025년 2월 7일 사상 처음으로 비축미 방출을 발표했고, 3월에는 21만 톤을 추가 방출하고 15만 톤을 더 입찰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쌀 소매가는 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본의 쌀 가격이 급등

 

우리에게 주는 교훈

일본의 쌀 가격 폭등 사태는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닙니다. 기후 변화, 정책적 한계, 유통 문제, 국제 정세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죠. 한국도 일본과 유사한 농업 구조와 기후 환경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은 우리의 밥상이 안전할지 모르지만, 이웃나라의 교훈을 통해 미래의 식량 안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때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보세요!

일본에서 저렴하게 장보기: 추천 마트와 할인 팁

 

일본에서 저렴하게 장보기: 추천 마트와 할인 팁

일본에서 생활하면서 매일 필요한 식료품과 생활용품을 구매할 때,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본의 다양한 마트와 할인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생활비를 절약하고, 더욱

jtrace.tistory.com

 

댓글